비트코인을 사야하는 이유

비트코인을 포함한 암호화폐, 한국에선 가상자산이라 칭하는 자산이 투자재로 각광받고 있다. 지상파 탐사프로그램(PD수첩 등)에서 몇 번이고 다뤄질 정도로 어떤 사람에겐 인생역전을, 어떤 이들에겐 몰락을 경험하게 해준 암호화폐. 사람들은 여러 위험을 감수하고서 비트코인을 왜 사는 걸까?

국가가 싫어하는 비트코인

국가는 시민들의 안정된 삶을 보장하는 역할을 맡고 싶어한다. 시중에 도는 통화량만 정책을 통해 잘 조절하면 그 목표를 거의 달성할 수 있다. 


문제는 이 과정에서 시행하는 통화정책에 따라 시민들의 삶과 국가경제에 파급되는 영향이 어마어마하다는데 있다. 


이러한 경제속성을 잘 파악한 집단들이 이를 역이용해 부를 쉽게 축적할 수 있는 빌미를 제공한다. 


덕분에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은 크게 보면 국가를 안정시키지만 시민들의 부익부 빈익빈을 가속화시키기도 한다. 

비트코인이 개발되다

2008년 서브프라임모기지 사태를 기점으로 부의 양극화가 극심해진 환경 속에서 비트코인이 나타나게 되었다. 비트코인 개발과정에 여러 모로 공헌한 사람들은 정부 주도의 통화 정책이 부의 쏠림을 가져왔으며 금융기관들의 도덕적 해이를 불러왔다는 관점을 견지하고 있다.


비트코인은 시민들의 신뢰를 얻고자 분산원장이라는 개념을 가져왔다. 분산원장이라는 단어자체가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서 암호화폐를 수박 겉핥듯이 접한 사람들에겐 어렵게 느끼는 진입장벽 역할을 하기도 한다.

분산원장은 사람들끼리의 돈거래와 계약을 빠짐없이 기록한 엄청나게 큰 종이책이라고 생각하면 오히려 간단하다.


분산원장이란 무엇인가

예를 들어 A가 B에게 1000원을 주었다고 하자. 그러면서 동시에 거래 원장에 그 사실을 기록해둔다.
문제는 거래 원장이 하나밖에 없거나 누가 원장을 소유하느냐에 따라 위조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현대에는 A와 B가 아닌 믿을만한 다른 사람-중개인이 이 거래원장을 시스템(카드회사, 은행 등)에 관리하도록 맡겨놓는다.​ 이 시스템은 겉으로 보기엔  그럴듯해보이지만 해킹으로 인해 거래원장이 훼손될 문제점은 아직도 여전하다. 국내에서도 은행거래 등을 컴퓨터전산화한 이후로 충격적인 해킹사건이 몇 건 크게 터진적이 실제로 있었다.

비트코인을 개발하는데 공헌한 사람들은 이 문제를 다음과 같이 해결했다. 다시 A가 B에게 1000원을 줬다고 해보자. 거래원장은 A와 B를 포함한 100명이 각자 하나씩 가지고 있으며 A가 B에게 1000원을 주었다는 사실을 동시에 기록한다. 만약 어느 하나의 거래원장에 1000원 뒤에 0을 붙여 조작을 하려 시도했다 가정하면 나머지 사람들이 이 거래를 검토하는 과정을 거쳐 진위를 파악한 뒤 훼손을 막는다.  이론적으로 51명의 거래원장 기록이 일치하면 나머지 49개의 거래원장이 조작되더라도 51명의 거래원장에 기록된 사실이 진실이라 본다. 위와 같은 식으로 거래원장 중 종이 한장을 적당한 양으로 채우면 그 종이 자체를 암호화한 다음 서류폴더에 넣고 새 종이로 거래를 기록하게 된다. 블록(종이원장)체인(서류폴더에 이어 꽂아두기) 개념이 여기에 해당된다.

이 방식의 장점은 디지털 상에 돈 복사를 막아주는 역할을 해준다. 위에 언급한 A가 B에게 준 1000원을 2000원이 되지 않게끔 막아준다. 복사 붙여넣기는 컴퓨터로 구현하는게 쉽지만 돈을 A에서 B에게 준다는 것을 구현해낸건 암호화폐가 처음이었던 것이다. 자산가치가 훼손되지 않고 신뢰를 강력하게 부여할 수 있는 기술이다보니 비트코인주의자들이 그 가치에 열광하는 것이다. 비트코인은 거기다가 2100만개밖에 생성하지못하도록 프로그램되어있다. 만약 2100만개라는 값을 수정하고 싶다면 비트코인 거래원장 중 51%이상을 수정해야한다. 아니, 비트코인 코어프로그램 코드를 수정해야하는 업데이트이기때문에 네트워크에 참여한 사람의 소수를 제외한 나머지의 동의가 필요하다. 한 마디로 비트코인의 가치를 무너뜨릴 수 있는 이벤트의 실현가능성이 0에 수렴하게끔 만드는 장치인것이다.


국가들은 금융민주화를 반대한다

비트코인은 달러가치가 하락한 이 시기에 희소성 및 가치저장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 거기다가 미국달러 통화정책을 좌우하는 기득권의 심기까지 건드렸다. 그리고 각국 중앙은행 통화정책 근간을 흔들 수 있기에 국가 권력들 모두는 비트코인을 경계하고 규제를 통해 압박하는 중이다. 그러는 와중에 남미에 있는 작은 국가인 엘살바도르는 자기나라 법정통화를 비트코인으로 삼겠다는 법안을 발의했다. 이런 환경에서도 과연 비트코인이 튤립투기에 비견될만하다고 볼 수 있을까. 튤립 그 자체는 사실 쓸모가 없다. 하지만 비트코인은 블록체인 기술이 기반이 되어 거래 신뢰가 부여되는 큰 강점을 가진 가치 통화다. 유일한 단점은 비트코인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선 잘 설명된 책 몇 권을 읽어야 한다는 점이다.
비트코인을 반대하는 사람들의 진짜 저의는 국가가 경제안정하는데 방해변수로 크게 작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달러나 원화만으로도 골치 아프다는걸 아는 사람들이니 갖은 수단을 써서라도 변수를 없애고 싶은 마음은 이해가 안가는게 아니지만 시민들은 진실을 있는 그대로 알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암호화폐 관련 기사나 토론을 지켜볼때는 거기에 사용되는 용어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해야 토론참여자들의 논리적 허점을 파악할 수 있다. 주의해야 할 점이 없는 건 아니다. 비트코인을 제외한 코인들은 발행량이 무제한 인 것도 있고 코인정책(백서라 부른다)이 그때그때 바뀌는 것도 있다. 당장은 트레이딩으로 떼돈을 버는 사람들이 한 두명씩 나올 수 있는 구조가 생기게 되는데 바보들이 다른 더큰바보들에게 잡코인을 높은 가격에 내놓기 때문에 벌어지는 일이다. 권도형의 루나 코인 대폭락 사기 사건이 그 교훈이 될 것이다. 제대로 된 탈중앙화(다른 잡코인들은 재단 또는 몇몇 목소리 큰 사람들에 의해 정책이 쉽게 바뀔 리스크가 있다)가 되었고 10여년 동안 해킹당하지 않은 코인은 비트코인이 유일하다. 미국은 달러기득권을 쥐기 위해 국민들에게 금을 소유하는 것도 법으로 금지시켰던 나라이다.
닉슨대통령이 금과 달러의 연결고리를 끊는 과정에서 생긴 일이다. 지금 비트코인에 대해 국가들이 개인들에게 핍박하고 압박하는 건 어떤 시그널로 봐야할지 한 번 비꼬아 생각해보게 된다. 오히려 비트코인에 투자해야 할 이유를 하나 더 제공한다고 볼 수도 있지 않을까. 

다음 이전